충남도 소상공인 필독! 경영정상화 자금 50만원 지원 받는 법
충청도 시골에서 작은 화장품 가게를 운영하시는 어머니의 심부름으로 경영정상화 자금 지원 신청했습니다. 어머니께서 요즘 요양보호사 자격증 공부를 하고 계신데(학원에서 공부하시느라 시간을 내실 수가 없어서), 저는 또 직장 때문에 접수처 방문은 어려워 어머니를 대신해 지난 토요일 저녁 노트북으로 온라인 신청을 하게 됐습니다.
충청남도 소상공인 경영정상화 자금이란?
충청남도는 지역 내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2025년 소상공인 경영정상화 자금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업체당 50만 원을 지급하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신청 자격, 방법, 제출 서류 및 제외 대상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방문 신청과 온라인 신청의 차이가 뭐냐고 물으신다면 (제가 느낀 바로는)구비서류의 차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방문 접수는 신청서, 신분증, 통장사본, 사업자등록증명,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혹은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증명 등의 서류가 필요한데,
온라인 신청은 통장사본만 있으면 됩니다. 소상공인24에 문의해본 결과 ,온라인 신청 시 사업자등록증명,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혹은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증명 등의 서류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온라인 신청 시 공공마이데이터 정보제공 수집·이용에 동의를 하기 때문입니다. 정보수집에 동의할 경우 국세청에서 사업자등록증명,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혹은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증명 등의 서류가 자동으로 전송이 됩니다. 하지만 공공마이데이터 정보제공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소상공인 경영정상화 자금 지원 사업에 제대로 신청이 안 될 수도 있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그리고 꼭 참고하셔서 제대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지원 대상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는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사업장 위치: 공고일 기준 충청남도 내에서 사업장을 운영 중인 소상공인.
- 연매출 기준: 2024년도 연매출이 1억 400만 원 미만인 사업체.
- 사업 형태: 제조업·건설업의 경우 종업원 수가 10인 미만, 기타 서비스업은 5인 미만이어야 합니다.
지원 제외 업종
다음 업종과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 제외 업종(붙임 참고)-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무등록사업자- 공고일 기준 휴·폐업 중인 사업자
-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면세사업자수입금액증명)상 전년도 매출액이 없는 사업자
- 비영리 기업·단체·법인 및 법인격이 없는 조합
- 태양력·화력·수력 발전업, 전기 판매업
충청남도 15개 시군의 홈페이지 주소와 충청남도청 홈페이지 주소
충청남도청 | www.chungnam.go.kr |
천안시 | www.cheonan.go.kr |
공주시 | www.gongju.go.kr |
보령시 | www.boryeong.go.kr |
아산시 | www.asan.go.kr |
서산시 | www.seosan.go.kr |
논산시 | www.nonsan.go.kr |
계룡시 | www.gyeryong.go.kr |
당진시 | www.dangjin.go.kr |
금산군 | www.geumsan.go.kr |
부여군 | www.buyeo.go.kr |
서천군 | www.seocheon.go.kr |
청양군 | www.cheongyang.go.kr |
홍성군 | www.hongseong.go.kr |
예산군 | www.yesan.go.kr |
태안군 | www.taean.go.kr |
지원 내용
- 지원금액: 업체당 50만 원.
- 지급 형태: 현금 또는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유의사항
- 충남도는 스미싱 방지를 위해 어떠한 홍보·안내 문자메세지(SMS)를 보내지 않음
- 동일인이 충남 도내 사업장이 2개 이상인 경우 중복검사를 통해 1개 사업장만 지원
- 2인 이상 공동대표가 각각 신청한 경우 대표자 중 1인에게만 지급
- ‘24년 영업일이 1년 미만인 경우 월할 계산을 통한 연매출액 산정
-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경영정상화 자금을 지원받은 경우「공공재정환수법」제8조 및 제9조의 규정에 따라 전액 환수 조치
※ 부정이익의 최대 5배에 해당하는 제재부가금 부과 가능
- 신청서가 어디 있냐고 물어보시는 분들도 계신데, 신청서는 현장접수의 경우 접수처에 준비되어 있으며, 온라인의 경우 온라인 신청으로 하면 되기 때문에 신청서가 따로 없습니다.
신청 방법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
- 접수 사이트: https://www.sbiz24.kr/
- 접수 기간: 2025년 2월 28일 오전 9시부터 4월 18일 오후 6시까지.
- 이제부터 아래 이미지를 보면서 따라해보시면 됩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당연하지만, 소상공인24 사이트에 가입하셔야 합니다. 가입하실 때 입력한 가게 상호, 사업자등록번호, 대표자 성명, 연락처 등이 나중에 소상공인 경영정상화 자금 신청 시 자동 입력됩니다.
꼭 소상공인24 홈페이지에 회원가입 먼저 하세요!
그리고 소상공인 경영정상화자금 신청 캡쳐화면은 실제로 제가 저희 어머니를 대신해 신청한 화면입니다. 캡쳐하면서 빨간색 네모 박스로 신청 단계를 표시를 해두었습니다. 온라인 신청을 하실 분들이라면 제가 올린 이미지를 확인하신 후 그대로 따라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프라인 신청
- 접수처: 충청남도 내 15개 시군 읍·면·동 지정 장소
방문 접수 시 제출 서류
방문 접수 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신분증 및 통장사본.
- 신청서.
- 사업자등록증명. → 사업자등록증이 아닙니다. 참고하세요!
-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일반/간이과세 사업자). 4번 혹은 5번 둘 중 하나 선택.
-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증명(면세사업자). 4번 혹은 5번 둘 중 하나 선택.
사업자등록증명서와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증명(면세사업자) 서류는 모두 홈택스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사업자등록증명 발급 바로가기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발급 바로가기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증명 발급 바로가기
신청 후기
저는 어머니를 대신하여 온라인으로 접수를 해드렸는데요,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마다 운영하시는 사업체의 업종 코드가 다 다릅니다. 저희 어머니는 화장품과 속옷을 소매로 판매하는 업체입니다. 업종 코드는 본인 사업자등록증 확인 후 사업자등록증에 나와 있는 대로 넣으셔야 합니다.
난이도는 그리 높지 않았으나, 회원 가입을 새로 해야하는 점에 약간 귀찬음? 있었습니다. 다만, 토요일 저녁에도 할 수 있었고, 제가 직장생활로 현장접수가 어려웠기 때문에 집에서 천천히 제가 올린 이미지 보시면서 하실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참고로, 저희 어머니 가게 앞 꽃집과 맞은편 과일가게는 그냥 방문 접수하셨는데, 그렇게 올래 걸리지 않았고, 벌써 50만원씩 다 수령하셨다고 들었습니다. 그 말은 현장접수도 의외로 쉽고 난이도가 어렵지 않다는 겁니다. ㅎㅎㅎㅎ
저야 뭐 인터넷을 할 줄 아니까 그냥 인터넷으로 했는데요, 이도저도 다 귀찮다 싶으신 분들은 거주하시는 가까운 곳으로 가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경영정상화 자금이 가게를 살릴 정도의 큰 돈은 아니지만, 요양보호사 자격증 공부로 2달 정도 오전에 가게 업무를 못 하시는 어머니께는 단비 같은 소식이었습니다. 혹시 아직 신청 안 하신 소상공인분들이 계시다면, 꼭 신청하셔서 가게 운영에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